728x90
반응형

결혼 준비 절차 체크리스트 

예물 예단 공부정리



요즘 코로나 때문에 결혼식이
미루어지고 난리도 아니지요.
저는 당장은 아니고 2년 뒤쯤
생각하고 있는데요.
제가 너무 모르는 것이 많아서 
결혼 준비 절차 체크리스트를
만들어서 우선 대략적으로
큰 틀만 정리하고 
공부해보기로 했어요.


우선 결혼 준비 절차들을 보니,
예물 예단 이런 것들도 있고,
함에 .. 스드메에 엄청 복잡해서
머리가 아팠어요..
뭐 돈만 많으면야 상관없지만
짜여진 예산 안에서 
좋은 걸루 하고싶으니 
후회없이 하기 위해 발품만이 
답이다 싶었다는...




우선 아래에 제가 만든 
결혼 준비 절차 체크리스트를 
첨부하겠지만, 
크게 결혼 준비 절차를 하려면,
양가 부모님을 찾아봽고, 
상견례는 기본이죠?
상견례 후에 결혼날짜까지 잡고
나면 이제 본격적인
결혼 준비 절차를... 진행해야합니다. 


음.. 제가 서칭해보니
많은 것을 생략하더라도
복잡하긴 하더라구요.
하다보면 웨딩플래너가 
무조건 붙게되고..
저는 제가 계획하고 싶은데
패키지 상품을 선택하다보면
무조건 붙는게 조건이라고 하더라구요..
돈이다 다 돈.. ㅠㅠ




우선 이렇게 

결혼 준비 절차 체크리스트를

만들어야지 흐름을 잘 

파악할 수 있겠더라구요.

물론 하면서 더 자세하게 작성할꺼고

가격표도 따로 적을꺼에요!


가장 큰흐름이에요.
인사->상견례->결혼날짜 택일
예식장->스드메->신혼여행
본식스냅업체 정하기
혼수사기

예식장 계약하면서는
폐백을 할 것인지를 정하기!
예물/예단/함/ 할지 정하기!

 



결혼 준비 절차를 준비하면서
궁금했던 점은
스드메는 과연 무엇인가
꼭 패키지로해야하는가!?
패키지가 싸더라고여..
스튜디오+드레스+메이크업
따로따로 하면 비싸고
위 이미지를 참고해주시면 패키지
구성이 어떻게 되는지 아실꺼에요!


그런데 저는 다 똑같이 진행하는
스튜디오 스냅사진이 넘넘 싫어요.
비슷한 실내+비슷한 포즈...
뭔지 아실꺼라 믿어요.
특히 지방이면 스튜디오 종류가 크지않고
잘하는 곳이 정해져있기 때문에
진짜 사진만봐도 아 여기는 거기다!
다 아는데 저는 그게 너무 싫고
촌스럽더라구요..

그래서 인스타 갬성한 스튜디오는 따로
업체를 구하고
드레스+메이크업 요 패키지로만
해도 괜찮을 것 같아요. 저는!




이런 스타일의 사진이 

본식스냅인데!

스드메의 스는 이 본식스냅이

포함되지 않아요.

제 결혼 준비 절차 엑셀에서

보듯이 신부대기실까지만

대부분 포함됩니다. 그래서

본식스냅 업체를 따로 계약해야 해요.

(제가 알아본 바로 대부분..)

간간히 본식도 패키지로 나와있는 업체가

있기는 했지만 다 추가적으로 돈을

지불해야 합니다. 



그러나.. 저는 그렇게 하기보다는

자신의 예식장 분위기에 맞는 업체를 

선택해야 한다고 봐요.

저는 그 특유의 촌스러운

갈색 세피아 느낌의 보정이 

정말 싫거든요..

어두운 식장 , 밝은 식장 

어떤 분위기에 맞게 보정을

잘하는 업체들이 있더라구요.

자신의 식장에 맞는 보정을 잘하는 

업체들을 골라서 해야해요.

본식 사진이 정말 중요하더라구요.

주변에서 후회하는 사람들을 

너무 많이 봣어요.

잘 선택하는 건 샘플을 많이 보는 수밖에..

성공하시는 분들보면 진짜 업체 샘플만

30개씩 보더라는 ㄷㄷ





그러고 예물 예단 함 이바지

할지 안할지를 정해야해요. 

예물 예단이 모냐!!


예물 : 신랑 신부가 주고받는 비싼 선물.

(가격대는 비슷하게 맞춤)

보통

신부는 보석세트, 가방을 많이 받음

신랑은 시계, 금목걸이를 많이 받음


예단 : 신랑쪽에서 준비한 집 금액의 10% 

해당하는 금액으로 신부가 준비하는 

현물예단(이불,반상기, 은수저) + 현금예단


예단비를 받은 신랑쪽은 봉채비+함을 

준비하여 신부쪽으로 보낸다.



결혼할 때 문제가 되는 부분이죠?
결혼하는 분들의 마음입니다만
요즘에 집은 반반으로하거나 
서로모은돈+대출로 하는 경우가 많죠.
그래서 과거 전통적인 예단 방식은
맞지 않는 부분이 많아요.




전통적 방식으로 집을 살테니
저렇게 하자! 하는 거 아닌 이상
저희 세대에 맞추어서 해야겠죠?
정답은 없습니다. 
본인들 편의에 맞게 
경제적인 여유에 맞게 준비하면
되는 것이지요.

집안의 문제이기는 하나 집안에 
끌려다니면 자꾸 싸움거리가 생기겠죠.
신랑신부 본인들의 생각에 맞추어서
행복한 길을 찾아나가면 됩니다.
현명하게 준비해요. 
결혼 준비 절차에 대해서 
대충 알아봤는데 더더 자세히
공부해야 할 것 같아요.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럽트리

,